메뉴 건너뛰기

XEDITION

지역현황

"농촌과 도시가 함께 자라고 행복해지도록 신경주농협이 함께 합니다"

지역현황

건천읍 연혁

연               혁

조선말기 : 경주군 내서면

1910.10 : 경주군 서면으로 개칭

1913.03 : 면사무소를 모량리에서 현 건천리로 이전

1917.10 : 광명동을 경주면에 고지동을 영천면에 편입

1928.01 : 행정리동 19개를 29개리동으로 분동

1952.07 : 29리를 35리로 분동

1955.09 : 경주읍이 시승격으로 월성군 서면으로 개칭

1973.07 : 11법정리 24행정리로 분리 건천읍으로 승격

1989.01 : 월성군 명을 경주군으로 환원

1995.01 : 시군통합으로 경주시제 실시

2003610121054.jpg
 
유 래

마을은 약 150년 전부터 마을이 형성되어 번창하였다.
마을옆 건천강변이 배수가 잘되어 물이 고이지 아니하고 항상 건조되여 한발이 심했으므로 건천이라고 일컫게 되었다고 한다.
고려태종 23년에 경주 대도독부, 조서조때는 경주부에 예속,1895년 경주군 서면에 속해 오다가 1914년 부군통폐합시 마을 이름을 건천(乾川)이라고 하였고 1973년 읍(邑)으로 승격하면서 건천읍 소재지가 되었다.

작원(鵲院): 신라 제29대 무열왕때 김유신(金庾信) 장군이 백제를 정복하고자 군사 5만을 인솔하여 왕성을 떠나 30리 쯤 되는 이곳에서 첫날 진을 치고 있을 때 서쪽에서 까치 한 마리가 느닷없이 날아와 진영의 상공을 날다가 대장기 끝에 앉았다.
군사들은 그것이 불길한 징조라고 생각하여 진중(陳中)이 어수선해지자.

그 광경을 보고 있던 김장군이 허리에 차고 있던 장검을 빼들고 까치를 향해 소리를 내지르니, 까치는 땅에 떨어지면서 홀연히 여자로 변신하였다.
그 여자는 다름아닌 백제의 공주였다. 김유신의 군사가 백제를 침공한다고 하는 소리를 듣고 까치로 변해서 염탐코자 신라군의 진지로 날라 온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김장군은 까치가 이미 백제의 공주임을 알고 소리쳤다.
공주는 눈물을 흘리며 엎드려 빌었고 이런 까닭에 이곳을 작성(鵲城)이라고 불렀고 마을 이름을 작원이라고 하였다.

지명 및 유적소개......

건천 1.(乾川)[마을] ; 거치내,건치내라고도 하며, 천포 동북쪽에 있는 마을이다.
건천 2.(乾川)[내] ; 거치내,건치내,건천내라고도 하는 건천 앞으로 흐르는 내.
건천교(乾川橋)[다리]; 건천 앞 국도에 있으며, 모량과 아화를 잇는 다리이다.
건천읍장(乾川邑場)[장]; 건천에 있는 건천읍의 시장으로 건천장,서면장이라고도 했다.

예전에는 3일,8일에 섰으나 지금은 5일, 10일에 장이 선다.
고지[마을] ; 고지(高旨)마을이라고도 하며,건천 동남쪽에 있는 마을이다.
김유신장군 기간지주[기둥] ; 건천2리 206번지 않기복(安基福)의 집 앞뜰에 있는, 화강석으로 된둥근 사다리꼴의 기간지주이다. 전설에 의하면 김유신 장군이 백제를 치기 위하여 군사를 작성(鵲城)에 주둔시킬 때 이곳에 기(旗)를 달기 위해서 세운 것이라 한다.
덕고개[고개] ; 건천의 동북쪽에서 대곡리로 넘어가는 고개. 숨은도랑[보] ; 건천의 서남쪽에 있는 봇도랑으로, 은보(隱洑)라고도 한다.

작성(鵲城)터[터] ; 작성은 신라 때 경주 수비(慶州守備)를 목적으로 쌓았던 토성(土城)인데, 주위4,340척(尺)으로 작원성(鵲院城)또는 작성(鵲城)이라고도 불렀다.

전설에 의하면 김유신 장군이 백제를 공격하 고자 이곳에 주둔할 때, 백제의 공주가 까치로 변해 신라 진중으로 날아 왔다가, 김유신 장군의 장검에 의해 떠어졌다.

그 후 성 이름을 작성 혹은 작원(鵲院)이라 했으며, 지금도 대곡천(大 谷川) 서편부락을 작원(鵲院)이라 부르고 있다.

성의남문(南門)터에는 초석이 여러개 남아있 다.
작원(鵲院)[마을] ; 건천 서북쪽에 있는 마을.
잘감[들] ; 건천 북쪽에 있는 들.
잘감보[보] ; 잘감에 있는보. 이후의 추가자료는 편집중에 있으며 건천에는 리동별로 건천의 역사,문화가 방대하게 널려져 있다. 건천에는 찬란했던 신라시대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선지자들의 얼이 곳곳에 배여있다.

문헌참고 : 단석산 아래 마을이야기 - 황종찬 저

 
신평리(新坪里)
2008319151322_200619_1.gif

신평리(新坪里) 지명유래 에 대하여......

약 400년 전 이덕유(李德裕)라고 하는 이가 마을을 일으킬때 지형을 보니, 마을 뒷 능선이 마치 울타리 같이 둘러싸여 있는 고로 '신기촌(薪基村)' 이라고 부르다가, 그 후 못을 막고 '못밑', 제하(堤下)' '부아미' 라고 바꾸어 불렀다고 한다.

수룽굴 : 약 200년 전 경주정씨(慶州鄭氏)성을 가진 한 선비가 마을을 개척하여 못을 막고 농사를 지으며 살았다.

어느날 못에 운무(雲霧)가 자욱하게 끼여 용이 이곳에서 등천을 하였다고 해서 '수룡(水龍)' 또는 '수렁' '수룽굴' 이라고 한다.

돈지(敦地) : 약 300년 전 박춘(朴春)이란 이가 야산에 마을을 세웠다고 하여 '둔지'라고 부르다가, 약 150년 전 돈제라고 하는 선비가 유림계(孺林契)를 시작하여 '돈지(敦地)'라고 고쳐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원신(元薪) : 마을을 개척한 지 300년이 되었다고 한다.

처음 마을을 일굴 때 인근의 들에 섶이 많이 자라고 있었다고 하여, 마을 이름을 '섶들'이라 불렀다고 전한다.

그 후 이곳에 못이 생기면서 새로 이들이 생겼다고 하여 '새들'이라 불렀고, '셉들' 또는 원래의 신평이란 뜻으로 원신평(元薪坪) 이라고 불렀다.

드물게는 이웃마을 사람이 이 마을 사람들을 놀릴 때 여근곡(女根谷) 마을 아래 있다고 해서 '십들'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모길(模吉) : 약 450년 전 처음 마을을 개척한 사람은 손씨(孫氏)였으나, 파평윤씨(坡平尹氏) 가문의 선강(善康)이라고 하는 이가 가척(加尺)에서 이주하여 마을을 크게 일으켰다고 한다.

그 후 이 마을의 어떤 과부가 수절하여 다른 사람의 본보기 즉 모범이 되었으므로 마을 이름을 '모길'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가마골 : 약 100년 전 김씨(金氏)성을 가진 이가 마을을 개척하였다고 하는데, 골짜기의 형상이 마치 '가마'처럼 생겼다고 하여 '부곡(釜谷)' '부동(釜洞)'이라고 이름을 짓게 되었다고 한다.

가잣골 : 약 450년 전 파평윤씨가 개척한 마을로, 어떤 모녀가 못 밑에서 여기까지 재미있는 이야기를 하고 오다가 이야기를 채 다 끝맺지도 못하고 마을에 닿게 되었다.

너무 가깝다는 생각이 들어 '가척(加尺)'이라고 하였다고 한다.

또 다른 이야기로는 조선 연산군때 갑자사화를 피해 이곳에 온 영의정 윤필상(尹弼商)의 조카 윤신(尹信) 이라는 이가 가랑사라고 하는 절 옆 지척 거리에 살았다하여 '가척'이라 불렀다고 한다.

가랑골 : 약 100년 전 가척 마을이 번창함에 따라 주민들이 이곳까지 이주해서 살게 되었다고 한다.

신라 때 이곳에는 가랑사라고 하는 절이 있었다고 하여 '가랑골' 이라 했다고 한다.

문헌참고 : 단석산 아래 마을이야기 - 황종찬 저

위로